SK네트웍스 Family AI캠프 10기

SK네트웍스 AI캠프 120일차 - 최종프로젝트(청년정책 상담 챗봇)

netsma 2025. 7. 7. 14:30

https://docs.aws.amazon.com/ko_kr/cli/latest/userguide/getting-started-install.html

 

최신 버전의 AWS CLI 설치 또는 업데이트 - AWS Command Line Interface

이전 버전에서 업데이트하는 경우 unzip 명령을 실행하면 기존 파일을 덮어쓸지 묻는 메시지가 표시됩니다. 스크립트 자동화와 같은 경우에 이러한 프롬프트를 건너뛰려면 unzip에 대한 -u 업데이

docs.aws.amazon.com

 

GitHub Copilot
Service Connect(ECS 서비스 연결)는 ECS 클러스터 내의 여러 서비스(컨테이너) 간의 내부 통신을 쉽게 해주는 기능입니다.
즉, ECS 내부에서 서비스끼리 짧은 이름과 표준 포트로 서로를 찾고 통신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결론
Service Connect는 ECS 내부 서비스 간 통신(예: A 서비스 → B 서비스)에만 영향을 줍니다.
외부 인터넷(예: OpenAI API, https://api.openai.com)로의 연결에는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즉, OpenAI API와의 connection error 문제는 Service Connect 활성화로 해결되지 않습니다.
connection error 해결에 도움이 되는 경우
만약 ECS 내부의 다른 서비스(예: 내부 API, DB 등)와 통신이 안 되는 문제라면 Service Connect가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외부 인터넷(공인 API, 외부 서버 등)과의 연결 문제라면
VPC, 서브넷, NAT Gateway, 보안 그룹, 네트워크 ACL, DNS 설정을 점검해야 합니다.
요약
OpenAI 등 외부 API와의 connection error는 Service Connect와 무관합니다.
외부 연결 문제는 네트워크/보안 설정을 점검해야 합니다.
추가로, 내부 서비스 간 통신 문제라면 Service Connect가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외부 API 연결 문제라면 네트워크 설정을 다시 확인해 주세요!

 

GitHub Copilot
아니요, Django나 Streamlit 등 어떤 웹 프레임워크를 사용하든
퍼블릭 서브넷 사용 여부는 “외부에서 직접 접근해야 하는지”와 “외부(인터넷)로 나가는 통신이 필요한지”에 따라 결정됩니다.
즉, 프레임워크 종류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퍼블릭 서브넷 사용이 필요한 경우
외부(인터넷)에서 직접 접근해야 하는 웹서비스
(예: 사용자가 브라우저에서 직접 Django/Streamlit 서버에 접속)
이 경우, 퍼블릭 서브넷 + 퍼블릭 IP가 필요합니다.
프라이빗 서브넷 + NAT Gateway 사용이 권장되는 경우
외부에서 직접 접근받을 필요는 없고, 오직 외부 API(OpenAI 등) 호출만 필요
(예: ALB, API Gateway 등에서만 접근, 내부 서비스)
이 경우, 프라이빗 서브넷 + NAT Gateway 구조가 더 안전하고 일반적입니다.
Django/Streamlit 서버는 프라이빗 서브넷에 두고,
외부 API 호출은 NAT Gateway를 통해 나가게 합니다.
예시
Streamlit/Django를 ECS에서 실행, 외부에서 직접 접속해야 한다면
→ 퍼블릭 서브넷 + 퍼블릭 IP 필요
ALB(로드밸런서)만 퍼블릭 서브넷, Django/Streamlit은 프라이빗 서브넷
→ ALB가 트래픽을 내부 서비스로 전달,
서비스는 NAT Gateway를 통해 외부 API(OpenAI 등) 호출
결론
Django/Streamlit 사용 여부와 무관하게,
“외부에서 직접 접근받아야 하는지”와 “외부로 나가는 통신이 필요한지”에 따라
퍼블릭/프라이빗 서브넷 구조를 결정하세요.
보안상, 가능하면 프라이빗 서브넷 + NAT Gateway 구조가 권장됩니다.
궁금한 점이 있으면 네트워크 구조(로드밸런서 사용 여부, 외부 접근 필요성 등)를 추가로 알려주시면 더 구체적으로 안내해드릴 수 있습니다!


GitHub Copilot
아니요, Django나 Streamlit 등 어떤 웹 프레임워크를 사용하든
퍼블릭 서브넷 사용 여부는 “외부에서 직접 접근해야 하는지”와 “외부(인터넷)로 나가는 통신이 필요한지”에 따라 결정됩니다.
즉, 프레임워크 종류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퍼블릭 서브넷 사용이 필요한 경우
외부(인터넷)에서 직접 접근해야 하는 웹서비스
(예: 사용자가 브라우저에서 직접 Django/Streamlit 서버에 접속)
이 경우, 퍼블릭 서브넷 + 퍼블릭 IP가 필요합니다.
프라이빗 서브넷 + NAT Gateway 사용이 권장되는 경우
외부에서 직접 접근받을 필요는 없고, 오직 외부 API(OpenAI 등) 호출만 필요
(예: ALB, API Gateway 등에서만 접근, 내부 서비스)
이 경우, 프라이빗 서브넷 + NAT Gateway 구조가 더 안전하고 일반적입니다.
Django/Streamlit 서버는 프라이빗 서브넷에 두고,
외부 API 호출은 NAT Gateway를 통해 나가게 합니다.
예시
Streamlit/Django를 ECS에서 실행, 외부에서 직접 접속해야 한다면
→ 퍼블릭 서브넷 + 퍼블릭 IP 필요
ALB(로드밸런서)만 퍼블릭 서브넷, Django/Streamlit은 프라이빗 서브넷
→ ALB가 트래픽을 내부 서비스로 전달,
서비스는 NAT Gateway를 통해 외부 API(OpenAI 등) 호출
결론
Django/Streamlit 사용 여부와 무관하게,
“외부에서 직접 접근받아야 하는지”와 “외부로 나가는 통신이 필요한지”에 따라
퍼블릭/프라이빗 서브넷 구조를 결정하세요.
보안상, 가능하면 프라이빗 서브넷 + NAT Gateway 구조가 권장됩니다.
궁금한 점이 있으면 네트워크 구조(로드밸런서 사용 여부, 외부 접근 필요성 등)를 추가로 알려주시면 더 구체적으로 안내해드릴 수 있습니다!

GitHub Copilot
이 오류는 ECS 태스크가 Amazon ECR(Elastic Container Registry)에서 이미지를 가져오려고 할 때 네트워크 연결에 실패해서 발생합니다.
즉, ECS 태스크가 ECR에 접근할 수 없는 네트워크 환경에 있다는 뜻입니다.

해결 방법
1. 서브넷과 라우팅 테이블 확인
퍼블릭 서브넷에서 실행 중이라면:
라우팅 테이블에 0.0.0.0/0 → **인터넷 게이트웨이(IGW)**가 연결되어 있어야 합니다.
태스크 실행 시 **퍼블릭 IP 할당(ENABLED)**이 되어 있어야 합니다.
프라이빗 서브넷에서 실행 중이라면:
라우팅 테이블에 0.0.0.0/0 → NAT Gateway가 연결되어 있어야 합니다.
2. 보안 그룹/네트워크 ACL 확인
ECS 태스크(또는 ENI)가 속한 보안 그룹의 아웃바운드 규칙에서
TCP 443 포트가 0.0.0.0/0으로 허용되어야 합니다.
네트워크 ACL도 아웃바운드 443 포트 허용 필요
3. DNS 설정 확인
컨테이너에서 api.ecr.ap-northeast-2.amazonaws.com이 올바르게 resolve되는지 확인
필요하다면 /etc/resolv.conf에 8.8.8.8 등 공용 DNS 추가
4. IAM 역할 확인
ECS 태스크 실행 역할에 AmazonECSTaskExecutionRolePolicy가 포함되어 있어야 합니다.
5. 직접 연결 테스트
(EC2 기반 ECS라면) 인스턴스에서 아래 명령어로 ECR API에 연결되는지 확인:
연결이 안 되면 네트워크 문제입니다.
요약 체크리스트
<input disabled="" type="checkbox"> 퍼블릭 서브넷: IGW 연결, 퍼블릭 IP 할당
<input disabled="" type="checkbox"> 프라이빗 서브넷: NAT Gateway 연결
<input disabled="" type="checkbox"> 보안 그룹/네트워크 ACL: 아웃바운드 443 허용
<input disabled="" type="checkbox"> DNS 정상 동작
<input disabled="" type="checkbox"> IAM 역할에 ECR 권한 포함
이 중 하나라도 누락되면 해당 오류가 발생합니다.
구성 변경 후 ECS 태스크를 재시작하면 정상적으로 동작할 것입니다.
문제가 계속된다면, 서브넷/라우팅/보안 그룹/NAT/IGW 설정을 구체적으로 공유해 주세요!